-
캐릿이 정의한 그들의 업
“트렌드에서 뒤처졌다는 조롱을 받지 않고, 새로운 문화를 안전하게 탐색할 기회를 주고자 만들어진 서비스가 캐릿이다. (중략) 단순히 유행을 나열하는 일회성 자료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그 시기만의 고유한 감성, 사고방식, 그리고 사회적 맥락을 담은 기록을 남기는 일. 그것이 우리의 일이라고 믿으면서 매 순간을 기록하고 있다.” / 『에디터의 기록법』, 트렌드 미디어 ‘캐릿’ 편집장 김혜원.
-
애플이 추구하는 디자인
“애플이 추구하는 디자인의 핵심은 제품의 본질과 주요 기능 및 사용자의 경험을 깊이 이해한 다음, 복잡한 장치를 세련된 미적 감각으로 단순화하는 것이다.” / 『애플에서는 단순하게 일합니다』
-
자신만의 매력이 중요하다
“저는 평발이 심해서 무용할 때 쥐가 많이 나요. 다리가 두꺼운 것도 엄청난 콤플렉스였어요. 그런데 로잔에 갔더니 선생님들이 제 다리가 예쁘다고 해주시더라고요. 다른 무용수를 보면서 키가 크건 작건 자신만의 매력이, 가슴을 울리는 표현이 더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.” / 한국인 남성 최초 스위스 로잔발레콩쿠르 우승자 ‘박윤재’
-
반복에 지치지 않아야 된다
“포기하지 않을 힘이 필요하고요. 또, 요즘 꽂힌 말이 있는데 ‘반복에 지치지 않아야 된다’는 말이 정말 저를 와닿게 만들었던 것 같아요.” / 배드민턴 안세영 선수의 전영오픈 우승 인터뷰 중